본문 바로가기
주식&코인

주식 종목 발굴하는 방법

by 캡틴재이슨 2023. 2. 13.

 

1. 일상 속에서 투자 아이디어 찾기

 

  종목을 발굴하는 첫 번째 방법은 일상 속에서 아이디어 찾기입니다. 피델리티에서 마젤란 펀드를 성공적으로 운용한 전설의 투자 대가 피터 린치가 애용한 방식으로 주변에서 좋은 평을 얻고 있는 제품 혹은 서비스와 관련된 회사를 투자와 연결시키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실제 투자로 이어지진 못했지만, 2019년 초 하이트 진로에서 출시한 테라라는 맥주를 우연히 마셔본 후 웬만한 수입 라거만큼 맛있다고 느낀 적이 있어 하이트 진로에 대해 검색해 본 적이 있습니다. 당시 PER이 매우 높고 부채 비율도 높은 편이라 투자를 하진 않았지만, 추후 주가가 2배이상 상승하기도 했습니다.

 

  물론 다시 그때로 돌아간다고 해도 여러 지표상 과감하게 큰 금액을 투자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다만 향후 비슷한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면, 그 땐 지난번 보다 더 많이 분석하고 판단하여 성공적인 투자를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런 관점에서 보았을 때 하이트 진로 케이스는 제 투자 경력에 있어 좋은 밑거름이 된 소중한 경험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들도 주변을 호기심 어린 눈으로 지켜보십시오. 좋은 투자 기회가 숨어 있을지도 모릅니다.

 

2. Top down 방식으로 찾기

 

  두 번째 방법은 Top down 방식입니다. 슈퍼개미로 유명한 개인 투자자 김정환님이 주로 사용하시는 방법입니다. 가치 투자를 기반으로 한 국내 굴지의 자산 운용사인 VIP 자산 운용의 김민국 대표님 또한 비슷한 방법을 선호하십니다. 핵심은 첫 번째 방식과는 달리 각자 기준에 따라 지표가 좋은 기업을 추려 낸 후(스크리닝), 상세한 분석을 하는 방식으로 투자 종목을 찾는 방식이라는 것입니다.

 

섹터 선정-> 종목 스크리닝-> 관심 종목 분석

 

  위 3단계로 진행이 되며, 슈퍼개미 김정환 님은 우리 같은 주린이들의 실력을 늘리는 방법으로 3단계에 더불어 관심 종목에 대한 기업 리포트를 써 보라고 조언합니다. 증권사 애널리스트처럼 종목에 대한 분석 글을 적다 보면 해당 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경쟁사와의 관계, 기업의 주된 매출이 어디서 발생하는지 속속들이 조사해야 합니다. 자연스레 해당 기업에 대한 이해도도 올라가고 투자 아이디어도 명확해질 것입니다. 저 또한 이 방식을 알고 난 후 종목 발굴에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종목 스크리닝 시 기업경영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ROE10%이상인 종목 중, 부채 비율 50%~100% 범위인 기업들을 추려내고 있습니다. 이는 저의 개인적인 기준일 뿐, 여러분들께서는 이를 참조하여 자신만의 기준을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댓글